Product Overview
목차
추천서
제2판의 저자 서문
제2판의 역자 서문
제1판의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약어표
제1장 신학적 증언으로서의 구약성서
1. 고대의 증언, 불멸의 성서
2. 비평적 이해
1) 역사비평학과 그 너머
2) 역사·언어·이야기·노래
3) 사회 세계와 신학의 역동성
4) 정경과 교회
5) 신학적 읽기의 세속적 배경
3. 다양성과 연속성
1) 다양성의 혜택과 위험
2) 통일성과 연속성
제2장 창조된 질서 그리고 깨어진 질서의 재창조(창세기 1~11장)
1. 창세기 1~11장에 대한 비평적 연구
1) 자료비평(Source Criticism)
2) 양식비평(Form Criticism)
2. 본문의 보편적 틀
1) 하나님에 관하여
2) 세계에 관하여
3. 창조의 중요성
4. 두 개의 창조 이야기가 하나로 결합되다(창 1:1~2:25)
5. 죄의 등장 및 죄의 사회적, 우주적 결과들(창 3:1~6:4)
6. 홍수: 거대한 분수령(창 6:5~8:22)
7. 새로운 세계 질서(창 9:1~11:26)
제3장 약속의 체결, 위기 그리고 성취(창세기 12~50장)
1. 서론
2. 창세기 12~50장에 대한 비평적 연구
1) 자료비평(Source Criticism)
2) 양식비평(Form Criticism)
3) 전승사비평(Tradition History)
4) 편집비평(Redaction Criticism)
5) 종교사(History of Religions)
6) 문학비평(Literary Criticism)
7) 사회 세계 분석(Social-World Analysis)
3. “데라의 족보는 이러하니라”(창 11:27~25:18)
1) 내러티브 개요
2) 이방 민족들 가운데 놓인 이스라엘
3) 주어지고 확증된 약속 137
4) 약속의 결과
5) 데라/아브라함 이야기의 신학적 성찰
4. “이삭의 족보는 이러하니라”(창 25:19~37:1)
1) 내러티브 개요
2) 계속되는 약속과 언약 이야기
3) 대립이라는 주제와 그것의 신학적 중요성
4) 야곱과 하나님
5. “야곱의 족보는 이러하니라”(창 37:2~50:26)
1) 내러티브 개요
2) 따돌림 그리고 화해
3) 섭리
6. 결론
제4장 속박·탈출·광야(출애굽기 1~18장, 시편 일부)
1. 출애굽기 읽기
1) 정경적 읽기
2) 출애굽기의 복합적인 특성
3) 역사적 배경과 신학적 선포
4) 장르·구조·내러티브적 진행
2. 출애굽 전승의 신학적 주제들
1) 우주적 차원의 창조
2) 역사적 차원의 압제
3) 하나님의 자기 계시
4) 해방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
5) 형성적(Formative)이고 전형적인 것(Paradigmatic)으로서의 출애굽
6) 모세와 인간 대리자의 역할
7) 광야로 인도한 해방
제5장 언약적 삶의 구조(출애굽기 19~40장,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1. 출애굽기 19장~신명기 34장: 신학적 개요
1) 출애굽기 19~40장
2) 레위기
3) 민수기
4) 신명기
2. 출애굽기 19장~신명기 34장을 이끄는 주제들
A. 조상들에게 주어진 약속 및 이스라엘과 맺은 언약
1) 출애굽기 19~40장
2) 레위기
3) 민수기
4) 신명기
B. 율법, 창조, 구속
1) 이스라엘의 예배
2) 사회질서
3) 땅과 동물들
4) 다른 민족들
5) 패러다임과 동기부여
6) 이스라엘의 율법이 지니는 역동적인 특성
3. 오경의 결말이 주는 의미
제6장 땅의 백성(여호수아, 사사기)
1. 땅을 향한 오랜 소망
2. 다툼의 현실 속에서의 땅
3. 가나안 사람들 사이에서
4. 본문이 증언하는 이념적 옹호
5. 신학적 특징을 지닌 본문
6. 권리부여와 전멸의 수사학
7. 신학적 비전으로서의 사사기
8. 결론
제7장 왕정의 출현(사무엘 상·하, 열왕기상 1~11장, 시편 일부)
1. 이스라엘의 위기 그리고 왕정으로의 전환
2. 왕정에 대한 신학적 관점
1) 하나님의 통치
2) 사무엘서의 문헌 전승들
3. 사무엘: 위기와 전환(삼상 1~7장)
4. 사울: 위협, 약속 그리고 왕정의 비극(삼상 8~15장)
5. 다윗: 하나님의 마음에 합한 자(삼상 16장~삼하 24장)
6. 솔로몬: 제국 그리고 분열(왕상 1~11장)
제8장 분열된 왕국의 왕들과 예언자들(열왕기상 12장~열왕기하 13장, 시편 일부)
1. 이스라엘 역사를 형성시킨 배교
2. 왕국의 분열
3. 여로보암: 신학적 문제들
4. 분열된 왕국: 내러티브의 반복
5. 분열된 왕국: 타락의 악순환
6. 이스라엘에서의 예언의 시작
7. 엘리야와 엘리사
1) 엘리야와 그의 시대
2) 엘리사와 그의 시대
8. 열왕기상 17장: 죽음 가운데서의 삶의 기적
9. 열왕기상 18장: 야웨만이 홀로 하나님이시다
10. 열왕기상 19장: 예언자에게 닥친 개인적 위기
11. 상징적인 내러티브 위에서
12. 이스라엘의 역사를 형성시킨 하나님의 말씀
제9장 예언과 개혁: 여로보암으로부터 요시야까지 (열왕기하 14-25장, 아모스, 호세아, 미가, 이사야 1-39장, 신명기, 스바냐)
1. 주전 8세기와 7세기
1) 히스기야와 요시야
2) 신명기
2. 주전 8~7세기 예언 문학
1) 예언자들
2) 예언서
3) 아모스서
4) 호세아
5) 미가
6) 이사야
7) 스바냐
3. 결론
제10장 멸망·추방·희망 (예레미야서, 애가서, 나훔서, 하박국서, 에스겔서, 이사야 40~55장)
1. 유다의 지정학적 현실
2. 성서가 말하는 유다의 지정학
3. 유다의 붕괴
4. 포로기
5. 희망의 무대
6. 희망의 목소리
7. 계속되는 증언: 고통과 희망
제11장 지혜·질서·항변(잠언, 욥기, 전도서, 시편 일부)
1. 지혜사상의 지평
2. 상식 속에 배어든 하나님의 거룩한 뜻
3. 왕실과 서기관의 기능
4. 전통적인 견해에 대한 항변
5. 끝나지 않는 질문: 신정론
6. 공허함의 가장자리에 놓인 비밀
7. 삶의 경험: 신앙의 자료
제12장 새로운 삶·갱신된 공동체·새로운 위기들 ( 역대기 상·하, 에스라, 느헤미야, 기타 소예언서들, 이사야 56~66장, 아가, 다니엘, 룻기, 에스더, 시편 일부)
1. 개요
2. 미래를 향한 비전
3. 현실의 상황
1) 에스라와 느헤미야
2) 역대기
4. 시편
5. 제2성전시대의 예언문학
6. 두루마리들(메길로트)
1) 아가서
2) 룻기
3) 에스더서
7. 그레꼬-로마 시대의 유대교 679 8. 결론 684 성구 색인 6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