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의 독서 - 세상을 바꾼 위험하고 위대한 생각들 The Reading of Youth [Revised Edition]

(No reviews yet) Write a Review
Was: $39.60
Now: $27.50
ISBN:
9788901294742
저자/Author:
유시민(Yoo Si-min)
출판사/Publisher:
웅진지식하우스
출판일/Publication Date:
2025.04.30
쪽수/Page:
356 Hardcover

Product Overview

Why do people all want to be rich?” “Are humans inherently selfish?” “What does it really mean to think for myself?” “How are facts distorted?” and “How should we live?” These timeless questions are explored through 15 great books that have marked major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civilization. Within them lie the struggles and answers of those who lived before us. By following in their footsteps through *Reading in One’s Youth*, readers will embark on a moving journey—gaining the wisdom to navigate the present and the inspiration to envision a better tomorrow.

유시민의 대표작 중 하나인 『청춘의 독서』는 2009년 처음 출간되어 오랜 시간 꾸준한 사랑을 받아왔다. 이번에는 특별증보판으로 독자들과 새롭게 만난다. 기존 14개 이야기에, 존 스튜어트 밀이 쓴 고전 『자유론』에 관한 이야기를 새롭게 추가했으며 특별증보판 서문을 더했다. 문장도 전체적으로 손봤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베스트셀러 작가로 그는, 스물아홉 살에 출간한 이후 지금까지 100만 부 이상 판매된 『거꾸로 읽는 세계사』를 비롯해 『나의 한국현대사』, 『역사의 역사』, 『국가란 무엇인가』, 『후불제 민주주의』 등 많은 책을 써왔다. 그간 써온 적지 않은 책 중 가장 큰 애착을 갖고 있는 책으로 『청춘의 독서』를 꼽는다. 특정 주제의식에 입각해서 쓴 책과 달리, 이 책에서는 자기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냈기 때문이다. “책을 읽으면서 얻은, 삶과 인간과 세상과 역사에 대한, 나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말하려고 썼다.”
그렇기에 그가 젊은 시절 치열하게 고민하고 사유했던 질문,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간과 역사와 사회를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하게 된 과정이 책 곳곳에 담겨 있다. 그런 의미에서 유시민의 인생 이야기이기도 하다. 작가, 정치인, 행정가이기 이전에 누구보다 뜨거웠던 청년 유시민의 모습을 만나게 될 것이다.
“세상은 진보하고 있을까?”, “민주주의는 무엇일까?”, “인간은 원래 이기적인 존재일까?”, “사실과 진실은 어떻게 왜곡되는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까?” 청춘의 유시민이 고전을 통해서 답을 찾고자 했던 질문들이다. 오늘의 청춘이라고 이와 같은 고민이 없을 리 없다. 그렇다면 그가 다시 펼쳐 든 이 책들이 지금의 청춘에게 의미 있는 답을 줄 수도 있지 않을까?

“세상이 두려울 때마다 그들에게 길을 물었다”
청년 유시민의 이정표가 되어준 위대한 고전 15

이 책은 유시민이 ‘청년 시절 읽었던 고전을 다시 읽어보면 어떨까? 시대도 변하고 나이도 들었으니 뭔가 다르지 않을까?’라는 생각에 손때 묻은 책들을 다시 펴보면서 시작되었다. 다시 꺼내 든 책은 예전과는 다른 사뭇 다른 모습으로 다가왔다. 당시에는 미처 보지 못했거나 외면했던 부분이 강한 울림을 주었다. 똑같은 책을 다시 읽었지만 결코 똑같은 책이 아니었던 셈이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죄와 벌』에서는, 처음 읽었을 때만 해도 기억에 남지 않았던 인물 두냐가 눈길을 끈다. 그의 행동에서 평범한 사람 다수가 모여 사회를 지탱하고 나아가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맹자』를 다루는 대목에서도 ‘청년 유시민’의 관점과 ‘오늘날의 유시민’의 관점 차이가 확연하게 드러난다. 대학생 당시 읽었을 때는 백성을 모든 가치들 중 가장 위에 놓은 ‘혁명적 사상가’ 맹자에게 강한 인상을 받았지만, 다시 읽었을 때는 효와 공동체를 강조한 맹자의 모습에서 ‘진정한 보수주의자’가 갖춰야 하는 덕목을 발견한다.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을 다룬 대목도 흥미롭다. 청춘의 유시민이 질문하고 오늘날의 유시민이 답하는 형식의 대화를 보는 듯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 저자는 젊은 시절에 다윈을 읽지 않았다고 고백한다. 『종의 기원』을 막상 읽지 않았지만 진화론에 대해서 잘 안다고 여겼고, 진화론이 우생학의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 거부감이 들었기 때문이다. 사실상 “다윈에 대해 별로 아는 게 없었”다는 증거였다. 연륜이 쌓인 뒤 이 책을 읽으며 과거의 오해와 무지를 반성함과 동시에, 인간은 이기적인 본능을 가진 존재이지만 또한 이타적인 존재라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고 말한다.

Reviews

(No reviews yet) Write a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