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릿- 흔들리지 않고 무엇이든 해내는 마음근력 [전면 개정판] Grit

(No reviews yet) Write a Review
Was: $39.60
Now: $25.90
ISBN:
9791168342682
저자/Author:
김주환
출판사/Publisher:
인플루엔셜(주)
출판일/Publication Date:
2025.02.26
쪽수/Page:
300

Product Overview

인간 성취력의 비밀을 밝혀 독자들에게 사랑받은 김주환 교수의 《그릿》이 12년 만에 전면개정판으로 독자들을 찾아왔다. 《회복탄력성》 출간 이후 현실에서 실천적인 해법을 담은 도서를 고민하던 저자는 시험을 앞둔 학생부터 치열한 경쟁 속에 사는 직장인까지, 목표한 바를 성취하는 것이 모두의 바람이라는 판단 아래 ‘성취력을 높이는 비법’, 즉 ‘그릿(GRIT)’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제시하며 2013년 초판을 출간했다. 이번 전면개정판에서 저자는 뇌과학에 기반한 저자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접목해 그릿 개념을 재정립했다. 그릿(GRIT)은 “Growing through Relatedness + Intrinsic motivation + Tenacity”로 자기조절력(Tenacity), 대인관계력(Relatedness), 자기동기력(Intrinsic motivation) 이 세 가지 마음근력을 통해 아이가 잘 성장하도록(Growing) 도와주자는 뜻이다.


김주환 교수는 이 책에서 부모가 극성을 부릴수록 아이의 성적이 오를 거라고 생각하는 건 큰 착각이며, 부모가 그토록 바라는 성적 향상의 관건은 성취력의 근원인 ‘그릿’을 갖추고 있느냐에 달렸다고 단언한다. “그릿, 즉 마음근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은 아이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만든다는 뜻이고, 아이의 성적 향상을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도 빠른 길”이라는 것. 또한 이러한 마음근력 훈련이 꾸준히 이루어질 때 아이는 공부 잘하는 것을 넘어 무슨 일을 하든 뛰어난 성취를 이루는 어른으로 성장하게 된다고 말한다. 십수 년 연구 끝에 밝힌 성취역량의 비밀을 풀어낸 이 책 《그릿》은 여전히 입시 지옥이라 불리는 우리 교육 현실에서, 아이를 무엇이든 잘 해내는 행복한 사람으로 키우고 싶은 부모들에게 보다 현실적이고 명확한 해법을 줄 것이다.

“비슷한 능력을 지닌 아이들이 비슷한 노력을 하는데,
왜 결과에서 많은 차이가 나는 걸까?”
《내면소통》 김주환 교수가 십수 년 연구 끝에 밝힌 성취역량의 비밀

《내면소통》에서 마음근력 훈련으로 삶을 변화시키는 방법을 제시했던 김주환 교수가 매일 공부와 씨름하는 청소년과 부모들을 위해 성취역량을 키우는 실질적인 해법을 담은 《그릿》을 펴냈다. 2013년에 김주환 교수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념화된 《그릿》은 절판 후 저자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접목해 성취역량의 근원인 ‘그릿’의 개념을 재정립하였고, 이를 키우기 위한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비슷한 능력을 지닌 사람이 비슷하게 노력하는데 결과에서 큰 차이가 나는 것은 바로 성취역량인 ‘그릿’의 차이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공부든 무엇이든 높은 수준의 성취역량을 발휘하려면 마음근력, 즉 ‘그릿’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그릿을 ‘끝까지 노력하는 힘’이라고 소개하는 김주환 교수는 이 책을 통해 일상에서 그릿을 키움으로써 공부는 물론 무엇이든 다 잘해내는 법을 소개한다. 특히 초등학생이나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들이 아이의 마음근력을 키워주고, 몸도 마음도 건강한 아이로 키워가는 데 보다 현실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모든 성취의 근간 ‘그릿’을 이루는 세 가지 마음근력
-자기조절력, 대인관계력, 자기동기력

그렇다면 모든 성취의 근간인 그릿은 어떻게 향상시킬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그릿을 통해 물론 무엇이든 잘 해내는 아이로 키울 수 있을까? 이번 전면개정판에서 새롭게 정립한 그릿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G는 성장(Growing)으로 현재 상태에서 자신의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해내는 것을 뜻한다. 아이가 이미 갖고 있는 능력을 온전히 발현해내는 것을 성장이라고 할 때, 이러한 성장(G)은 자기조절력(Tenacity), 대인관계력(Relatedness), 자기동기력(Intrinsic motivation)이라는 세 가지 마음근력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그릿은 자기조절력, 대인관계력, 자기동기력이라는 세 가지 마음근력을 통해 아이가 잘 성장하도록 도와주자는 개념이다(GRIT = Growing through Relatedness + Intrinsic motivation + Tenacity). 세 가지 마음근력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자기조절력(Tenacity): 나 자신을 조절하고 다스리는 힘
자기조절력은 내가 세워놓은 목표를 향해서 스스로를 몰아가고, 일단 어떤 일을 시작하면 하기 싫거나 지루해도 끝까지 해내는 능력이다. 또한 시험이나 발표 등 어떠한 목표(대상)에 자신의 에너지와 주의력을 쏟아부을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 공부하는 아이 입장에서 자기조절력이란 노력하는 힘이며, 시험을 잘 보는 힘이라 할 수 있다.

- 대인관계력(Relatedness): 건강한 인간관계를 구축하는 힘
흔히 대인관계력을 단순히 사람들과 친하게 지내는 성향이라 생각하지만, 뇌과학적에서 대인관계력이란 상대방의 생각과 의도를 잘 파악하고, 상대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대인관계력을 잘 발휘하려면 한마디로 나와 타인에 대한 실시간 정보처리를 잘해야 한다. 학생이 시험을 볼 때 출제자의 의도를 잘 파악하는 것 역시 대인관계력이 발휘되어야 가능하다.

- 자기동기력(Intrinsic motivation): 열정을 갖고 스스로 해내는 힘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해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는 능력으로, 자기동기력의 가장 중요한 기반이 되는 요소는 어떤 일을 할 때 그 일 자체에서 재미를 느끼고 에너지를 얻는 ‘내재동기’다. 이러한 내재동기는 자율성에서 비롯된다. 자율성이란 ‘내 인생은 내가 산다’ ‘내 삶의 주인은 나 자신이다’라는 믿음이며, 이런 믿음이 있어야만 현재의 내 삶을 스스로 결정하고 변화시킬 수 있다.

김주환 교수는 뇌과학적 이론에 입각해 이 세 가지 마음근력이 발휘되려면 《내면소통》에서 소개한 ‘편안전활(편도체 안정화, 전전두피질 활성화)’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한다. 특히 전전두피질을 활성화하는 훈련을 통해 아이가 공부를 스스로, 즐겁게, 끝까지 해낼 수 있다고 강조한다.

행복한 아이가 공부도 잘한다
-뇌과학이 알려주는 성적 향상의 비밀

안타깝게도 오늘날 우리 교육 시스템과 공부에 대한 부모들의 고정관념은 아이의 그릿을 키워주기는커녕 오히려 점점 더 약화시키고 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한국 아이들의 편도체 활성화 정도는 심각한 수준이다. 편도체가 활성화된다는 건 부정적인 정서에 사로잡힌다는 뜻으로, 이는 쉼없이 불안감에 시달리면서 작은 일에도 쉽게 화내고 짜증을 내는 증상으로 나타난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보는 청소년의 모습이다.
김주환 교수는 이를 바로잡으려면 특히 부모가 가진 잘못된 편견을 반드시 바꿔야 한다고 강조한다. 부모가 먼저 ‘공부는 하기 싫고 어려운 것, 참아가며 해내야 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생각이 부모로 하여금 아이에게 공부를 강요하고 무리하게 선행학습을 시키고 야단을 치거나 닦달하게 만든다. 그 결과 아이는 부모에게 인정받기 위해 ‘마지못해’ 공부를 한다.
그러나 본능적으로 사람은 자기가 싫어하는 일을 잘해낼 수 없다. 공부도 마찬가지다. 공부를 잘하는 방법은 단 하나, 전전두피질을 활성화하는 것뿐이다. 전전두피질이 활성화된 상태란 한마디로 마음이 즐겁고 행복한 상태다. 즉, 그릿을 키워준다는 것은 아이의 감정상태를 안정화하면서 늘 마음이 행복하고 즐거운 상태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저자의 말처럼 “아이가 반드시 행복해야만 몸과 마음이 건강해지고 공부도 잘한다”는 사실을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책에서는 그릿을 통해 공부를 잘하는 법을 다루고 있지만, 저자가 말하는 그릿은 비단 학생의 공부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입시나 시험 같은 경쟁은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되며, 우리의 인생은 그릿이 필요한 크고 작은 도전의 연속이다. 그런 의미에서 《그릿》은 단순한 공부 전략이 아닌, 성공적인 인생을 살아가기 위한 근본적인 힘을 키우는 법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Reviews

(No reviews yet) Write a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