Котлован / 코틀로반 - 세계문학전집 39

(No reviews yet) Write a Review
Was: $19.71
Now: $15.78
ISBN:
9788954610957
Condition:
New
Availability:
Usually Ships in 5 - 10 Days
Author / 저자:
안드레이 플라토노프
Publisher/ 출판사:
문학동네
Release Date / 출판일:
2010.05.17
Page / 페이지:
234

Product Overview

 
 
19세기 러시아 사회의 모순을 생생하게 옮겨놓다!
 
19세기 러시아 태생의 소설가 안드레이 플라토노프가 혁명 이후 러시아 사회의 불안과 슬픔을 그려낸 『코틀로반』. 놀랍고 두려운 거짓말로 엄격하게 조직화되어 진실성, 인간성, 그리고 희망을 상실해버린 19세기 러시아 사회의 모순 속으로 초대하는 장편소설이다. 공장에서 해고된 이후 삶의 의미를 찾아 길을 떠난 '보셰프'라는 한 남자가 모든 노동자의 유토피아인 '전 프롤레타리아의 집'을 건설하기 위해 공사용 구덩이인 '코틀로반'을 파는 일을 하면서 겪는 갈등과 절망을 담고 있다. 암울한 현실 속에서 살아가면서도 이상향을 꿈꾸는 민중의 구슬픈 삶을 긴장감 있게 그려낸다. 역사의 가치뿐 아니라, 인간의 존재 조건에 대해 묻는다.
 

혁명 이후 러시아 사회의 슬픔과 불안을 그려낸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대표작
‘러시아의 조지 오웰’로 불리는 안드레이 플라토노프의 디스토피아 소설로, 그의 작품 중 가장 많은 문제를 제기하는 대표작이다. 이 소설은 1930년에 완성되었으나, 체제 비판적이라는 이유로 작가 생전에 출간되지 못하고 1987년에 이르러서야 발표되었다. 공장에서 해고된 후 삶의 의미를 찾아서 길을 떠난 한 남자가 모든 노동자들의 유토피아인‘전 프롤레타리아의 집’을 건설하기 위해 공사용 기초 구덩이 ‘코틀로반’을 파는 일을 하며 겪는 갈등과 좌절을 그린 이 작품은 1920년대 후반 정권을 잡은 스탈린이 사회주의를 구축하면서 진행한 농촌 집단화를 가차 없이 비판하고 풍자하는 한편, 암울한 현실 속에서 이상향을 꿈꾸며 힘겹게 살아가는 민중의 모습을 연민의 시선으로 그려낸다. 플라토노프의 문학을 꾸준히 연구해온 부산외대 김철균 교수의 번역으로 선보인다.
작품 소개

“플라토노프는 19세기의 위대한 러시아 문학 이후로 다시 세계를 놀라게 했다.”
_ 세르게이 잘리긴(러시아 작가)
1899년 러시아 남부 보로네시의 외곽 마을에서 태어난 안드레이 플라토노프는 곤궁한 집안 형편으로 일찍부터 여러 일자리를 전전하다가 공학도의 길을 걸으면서 문학 활동을 병행해나갔다. 이후 그는 약 30년에 걸쳐 창작활동을 했는데, 처음 몇 년 동안에는 유토피아를 꿈꾼 열혈 이상주의자로서 구시대에 대한 혐오, 새로 다가오는 시대에 대한 벅찬 기대, 혁명을 향한 뜨거운 의지를 작품 속에 구현했다. 1926년 무렵부터 1935년에 이르는 시기에는 회의에 젖기도 하고 이전과는 다른 사고를 하는 가운데 가장 활발하게 작품활동을 하면서 대부분의 대표작을 완성했다. 공상과학 소설「에피르의 길」과 역사소설「예피판의 수문」에서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이 주된 정조로 자리 잡았고, 동시대의 현실을 작품에 반영하여 혁명 정신을 상실해가는 당시의 세태와 관료주의를 냉혹하게 비판하고 풍자했다. 이 시기에 완성한 첫번째 장편이『체벤구르』는 유토피아에 대한 문제의식을 깊이 있게 다룬 작품으로, 마치 구도자처럼 공산주의를 찾아 떠나는 주인공 샤샤의 방황과 공산주의가 실현된 체벤구르의 비극적 몰락을 그리고 있다.
플라토노프는 19세기 러시아 리얼리즘 문학의 두 조류 가운데 어느 특정한 경향에 치우치지 않고 당대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민중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동시에 형이상학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다각도로 모색한 작가이다. 그가 그리는 세계는 긴장과 모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세계에서는 정신과 물질, 추상과 구체, 주체와 객체, 자연과 문명 등이 결합되어 있다.

시대의 역설 - 노동자들의 집인 동시에 무덤이 된 코틀로반
이 작품은 1930년에 탈고되었지만, 체제를 비판한다는 이유로 작가가 살아 있는 동안에는 러시아에서 출판되지 못하다가 1987년에야 비로소 잡지 『신세계』에 발표된다. 1980년대 후반 페레스트로이카로 급격한 변화를 맞은 러시아에서는 이전과 완전히 다른 새로운 문학이 선보임과 동시에 구체제에서 출판이 금지되었던 작품들이 속속 독자들에게 다가갈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플라토노프의 작품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격동기 러시아 역사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아냈다는 평가가 내려졌다.
『코틀로반』은 플라토노프의 문학 세계가 여실히 드러난 작품이다.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을 전면에 드러냄과 동시에, 혁명의 정신을 상실해가는 1920년대 후반 러시아 사회의 모습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풍자한다. 모든 노동자들이 영원히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된 ‘전(全) 프롤레타리아의 집’은 암울한 현실 속에서 민중이 꿈꾸는 유토피아이다. 이 건물을 짓기 위한 토대이자 곧 민중의 삶이 된 ‘코틀로반’을 파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이지만, 집단화 정책에 동조된 사람들은 그들이 추구하는 목표를 잃어버리고 코틀로반을 떠난다. 코틀로반은 노동자들의 집이자 이상적인 터전이었던 동시에 ‘무덤’이기도 했던 것이다. 이러한 코틀로반의 역설은 사회주의 건설 과정의 양면성, 즉 시대의 역설을 드러낸다.
플라토노프의 작품을 접한 독자들은 대부분 등장인물의 말과 행동은 쉽게 이해되지 않으며, 작품의 화자는 생경하고, 작가가 구사하는 언어는 이중의 의미층이 중?되어 있어 기이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코틀로반』에는 다른 어떤 작품보다도 이러한 특징이 잘 드러나 있으며, 이 작품에 대해 한 문학 연구가는 “플라토노프 연구가들이 이 작품을 그의 작품 가운데 가장 뛰어난 작품이라고 평가하는 데는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가장 많은 문제를 제기하는 작품이라는 데는 쉽게 동의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처럼 플라토노프는 『코틀로반』에서 이전에 다룬 모든 철학적인 문제를 종합적으로 제기할 뿐만 아니라 한층 더 전면적으로 문체 실험을 감행하여 자신이 추구한 문학세계를 집약해서 보여준다.

〈이 책에 쏟아진 찬사〉
플라토노프는 제임스 조이스, 프란츠 카프카, 로베르트 무질과 어깨를 나란히 할 만한 작가이다.
_ 조지프 브로드스키(시인,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플라토노프는 체호프가 이뤄낸 성과 이상으로 러시아 소설을 발전시켰다. _ 타임스

소비에트 연방이 무너지고 난 뒤에 재발견한 러시아 작가 가운데 가장 흥미롭다. 『코틀로반』은 단연코 플라토노프의 최고 걸작이다. _ 인디펜던트

『코틀로반』은 소비에트 정권이 시도한 노동자들의 유토피아 건설을 통렬하게 조롱하고, 가공할 거짓말로 엄격하게 조직화되어 희망, 진실성, 인강성을 모두 상실한 사회를 그려냈다. _ 퍼블리셔스 위클리

〈줄거리〉
서른번째 생일을 맞던 날, 보셰프는 전체 작업 속도를 거스르고 자주 사색에 빠진다는 이유로 자신이 다니던 공장에서 해고된다. 삶의 의미를 찾아서 길을 떠난 그는 새로운 공간에 도착하여 모든 노동자들이 영원히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집단 거주지,‘전 프롤레타리아의 집’을 건설하기 위해 ‘코틀로반’을 파는 공사장에서 일을 하게 된다.
그곳에서 그는 이상적인 노동자상을 대변하는 인물로 강인하고 우직하며 생각보다 행동이 앞서는 치클린, 부르주아 출신으로 나약한 지식인을 대표하는 건축기사 프루?스키, 글을 읽고 쓸 줄도 모르면서 조합위원장의 직책을 맡아 부패를 일삼으며 부르주아 생활을 영위하는 파시킨, 제국주의에 의해 두 자리가 잘려나간 자체프 등 여러 사람들을 만난다.
이들은 이상적인 삶의 둥지를 짓기 위해 온 힘을 다 바쳐 공사일에 매달리다가 점차 집단화 정책에 동조하여 부농 계급 철폐에 관심을 쏟기 시작한다. 마침내 그들은 자신들이 추구한 목적을 상실하게 되고 집의 토대를 내리기 위해 그토록 열심히 팠던 코틀로반은 마치 무덤처럼 덩그러니 남는다

목차
 
예피판의 갑문
그라도프 시(市)
비밀스러운 인간
마르쿤
모래 여선생
국가의 거주자
회의하는 마카르

옮긴이 해설ㆍ존재의 심연에서 길어 올린 역설의 언어
작가 연보
기획의 말
 
 
 
 
저자 안드레이 플라토노프는 러시아의 남부도시 보로네쥐에서 철도기술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난 이듬해 보로네쥐 공과대학에 입학했으며, 이 시기에 '전화'(1921), '푸른 심연'(1922), '태양의 후예들'(1922)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예피판의 수문들'을 비롯한 '비밀스러운 사람' 등의 작품들을 통해 혁명의 시기에 성장한 '노동하는 인간'을 주인공으로 하는 독특한 문학세계를 정립했으며, '붉은 처녀지', '신세계', '10월' 등 중앙 문예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작가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했다. 전쟁이 끝난 후, 모스크바로 돌아와 아들을 간호하던 중 폐렴이 전염돼 1951년 사망했다
 
 
 
 

Reviews

(No reviews yet) Write a Review